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컴Y입니다. 오늘은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헤제할 수 있는 팁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윈도우 디펜더는 보안 프로그램으로 마이크로스프트에서 제공해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윈도우와 가장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랜섬웨어와 바이러스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강력한 기능 때문인지 컴퓨터를 이용하는 중에 무수히 많은 위험 알림이 나오고 인터넷을 이용할때나 일일히 허용을 눌러줘야하는 만큼 불편하기 짝이 없습니다. 인증되지 않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사용해야할때나 의심이 되는 파일을 열어볼때 도움을 받을수는 있겠으나 단순히 인터넷 서핑이나 게임을 할때 경고창이 뜨면 짜증이 솟구치기도 합니다.

 

저는 그래서 V3나 알약같은 백신을 다운로드 받고 윈도우10 디펜더 끄기를 통해서 불편함을 없애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디펜더를 이용하면 이해가 안될정도로 램이나 CPU를 잡아먹는데 컴퓨터의 성능이 낮아져 버벅거리는 원인이 되기도하는데 그래서 윈도우10 디펜더 끄기를 통해서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마이크로스프트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디펜더를 해제하거나 삭제하지 못하도록 꼼꼼히 숨겨두었기 때문에 방법을 잘 보고 따라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윈도우10 디펜더 끄기/해제/삭제 방법

이보다 쉬울수는 없는 윈도우10 디펜더 끄기는 설정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렷듯이 디펜더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자랑하는 보안 프로그램이고 쉽게 삭제를 진행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단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끄기는 무척 간단하기 때문에 이정도만 설정을 해줘도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고 불편한 창이 절대로 뜨지 않게 됩니다.

 

컴퓨터 좌측 하단 윈도우 버튼을 누르고 위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눌러줍니다.

 

 

윈도우 설정 창이 뜨면 업데이트 및 보안 (윈도우 업데이트, 복구, 백업) 메뉴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왼쪽 카테고리에서 Windows 보안을 눌러주신 후에 보호 영역에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를 클릭합니다. 다른 메뉴는 건들필요가 없는데 디펜더를 99.9% 삭제하고 싶으신 이유는 실시간 동작으로 인한 사용 불편성과 불필요한 cpu를 점유해서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일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러스쪽만 비활성화시켜주면 모두 해결됩니다.

 

 

맨 밑으로 스크롤로 쭈욱 내려주시면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옵션 V 버튼이 보입니다. 해제를 어렵게 하기 위해서 숨겨둔 것인데 방법만 알고 있으면 이렇게 바로 찾아버릴 수 있죠.

 

 

주기적 검사를 끔으로 바꿔주시면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및 해제가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컴퓨터를 이용하시면 바이러스 감지나 불편한 창이 전혀 뜨지 않습니다. 다만 약간의 프로그램 기능들은 동작하기 때문에 조금 꺼리짐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사용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기까지만 설정을 하셔도 이전과 비교도 할수없을 만큼 편의성이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만약 윈도우10 디펜더 완전 삭제나 완전 기능 끄기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레지스터 편집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10 디펜더 완전 끄기 및 삭제 방법

레지스터 편집기는 키보드 자판에서 윈도우 버튼과 R을 동시에 누르면 자동실행됩니다. 열어진 실행 프로그램의 입력칸에는 gpedit.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시길 바랍니다.

 

 

왼쪽 경로 카테고리에서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폴더를 찾아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사진에 표시한 3개의 빨간 박스를 순서대로 누르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제 왼쪽 화면을 보면 윈도우10 디펜더 설정들이 보입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함 기능입니다. 찾으셨다면 더블클릭합니다.

 

 

여기서 사용을 체크하시고 적용을 눌러주시면 윈도우10 기능 완전 끄기가 됩니다. 삭제를 한 것과 동일하게 앞으로 디펜더가 절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컴퓨터의 점유율이나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 두가지의 윈도우10 디펜더 끄기를 알아보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위에서 알려드린 설정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이 되며 확실히 해결을 하고 싶을때에 레지스터 편집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컴퓨터를 잘 모르시는 분이 레지스터편집기를 잘못설정하엿다가는 컴퓨터를 포멧해야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이죠.

 

또 한가지 당부드리고 싶은 말씀은 디펜더를 끄셨다면 다른 백신 프로그램은 꼭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시중에서는 v3나 알약과 같이 유명한 프로그램이 있고 디펜더에 비해 불편하지도 않고 비슷한 보안레벨로 컴퓨터를 지킬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기를 바라면서 컴아였습니다.

댓글